HBS 뉴스광장
  • 북마크

경제

티베트 대신 ‘시짱’ 미는 중국… “경제발전 속도 빨라”

2023.11
22

본문

중국이 티베트 자치구의 영문 명칭을 ‘티베트’(Tibet) 대신 ‘시짱’(Xizang)으로 표기하고, 해당 지역의 경제 발전상을 강조하는 등 통치권 강화에 나서는 모양새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21일 베이징에서 중국 티베트학 연구센터가 주최한 ‘신시대 시짱 통치 전략의 실천과 역사적 성과’에 관한 고위급 포럼에 약 50명의 전문가와 학자가 참석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앞서 10일 국무원 신문판공실이 발간한 ‘신시대 중국 공산당의 시짱 통치 전략 실천과 역사적 성과’ 백서에 대해 논의했다. 천중룽 중국 티베트학 연구센터 부주임은 “이 백서는 시짱의 경제 및 사회 발전과 진전이 중국의 영광스러운 발전 업적의 전형”이라며 “일부 외국 세력과 달라이 라마 파벌에 의한 중국의 시짱 관련 정책 비방 공격에 직면한 우리(중국)의 올바른 방법은 발전, 인권, 진보에 대한 올바른 전망을 고수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인권 문제 등을 지적하는 서방을 가리켜 “그들은 티베트인들을 동정한다고 외치지만 이는 순전히 악어의 눈물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중국 티베트 라싸시 외곽 도로에 설치된 중국 공산당 선전 게시판. '중화민족 공동체 의식을 굳건히 하고, 각 민족은 교류·왕래·융합을 촉진해야 한다'는 문구가 적혀 있다. 티베트=연합뉴스
이날 논의된 백서에 따르면 지난해 티베트 지역의 국내총생산(GDP)은 2132억6000만위안(약 38조7000억원)으로 10년 전인 2012년 대비 2.28배 증가했으며, 이는 물가변동에 따라 조정한 불변가격 기준으로 연평균 8.6%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글로벌타임스는 시짱의 경제성장률은 중국 내에서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중국 당국은 티베트 지역의 생활이 개선됐다고도 강조했다. 중국 사회과학원 국경지대 연구소의 장용판 연구원은 “지난 몇 년 간 시짱은 국경 지역에 부유한 마을을 건설하기 시작했다”며 “중앙 정부가 빈곤 퇴치에 총력을 기울여 시짱의 국경지역 주민들이 큰 발전을 이뤄냈다”고 자평했다.

 

앞서 중국은 2021년 발간한 백서 영문판에서는 티베트라는 명칭을 사용했지만 최근 들어 영문 명칭도 시짱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중국중앙(CC)TV가 영문 인터넷 홈페이지에 개설한 ‘신장’(Xinjiang)과 ‘티베트’ 등의 카테고리에서도 최근 티베트 카테고리가 시짱으로 바뀌었다.

 

1950년 티베트를 침공한 중국은 이듬해 5월23일 티베트와 ‘시짱 평화해방 방법에 관한 협의’라는 조약을 맺고 티베트를 병합했다. 이후 1959년 티베트 독립을 요구하는 대규모 봉기를 진압하고 1965년 이 지역을 시짱 자치구로 편입했다. 중국 정부는 티베트 점령에 대해 농노사회였던 티베트를 해방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최근 이처럼 중화민족 중심의 문화사상을 강조하고 있는 중국 당국은 최근 이슬람 사원(모스크) 다수를 폐쇄한 것으로 전해졌다. 영국 가디언은 21일(현지시간) 중국 당국이 신장위구르자치구 다음으로 이슬람 신도가 많이 거주하는 북부의 닝샤회족자치구와 간쑤성에 있는 수백개의 모스크를 폐쇄하거나 개조했다고 보도했다. 가디언은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의 연구 결과를 인용해 최근 몇 년 간 폐쇄되거나 개조된 모스크의 정확한 수는 확인할 수 없었지만 중국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수백 개에 이를 것이라며 “이는 소수 종교를 중국화하려는 중국 당국의 광범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지적했다.

 

호주 전략정책연구소는 닝샤와 간쑤뿐 아니라 신장위구르자치구에 있는 1만6000여개의 모스크 중 65%가 2017년 이후 파괴되거나 손상됐다고 추정하기도 했다. 중국 공산당은 오랬동안 중국의 소수종교·소수민족에 대한 강력한 통제권을 유지해 왔다. 특히 2014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의 신장위구르자치구 방문 당시 우루무치 기차역에서 발생한 이슬람 무장단체의 폭탄테러 이후 분리주의·극단주의 운동의 싹을 자른다는 목표로 신장 통제를 강화하며 이슬람교 관리에 주력했다. 이에 서방 국가들은 중국 당국의 소수민족 종교와 인권 탄압을 문제삼아 왔고, 미국은 지난해 6월 발효된 ‘위구르족 강제 노동 금지법’을 통해 신장위구르 산 제품 수입을 제한하고 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